[2022년 기술교류회] 고경력과학기술인 역량강화로 청소년진로체험 및 수혜기관 지원방안 논의
- 작성일
- 2022-10-20
- 작성자
- 관리자
- 연구분야
- 기타
- 지원분야
- 기타(자유주제)
- 조회수
- 2138
- 첨부파일
-
고경력과학기술인 역량강화로 청소년진로체험 및 수혜기관 지원방안 논의
기술교류회장 : 조00 ReSEAT 전문위원
□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는 2023년이면 출범 50주년을 맞이한다. 그동안 많은 고경력과학기술인들이 은퇴 후 다양한 활동하고 있으며, 향후 정년 퇴직자가 매년 약 300여명이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됨.
ㅇ 정부는 그동안 과학기술인의 양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쳐왔으나,
-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고경력과학기술인이 지닌 경험과 연륜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도 보다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됨.
ㅇ 그동안 대전시와 대덕특구에서 고경력과학기술인이 주로 참여한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기술지원을 위한 컨설턴트, 청소년진로체험 튜터로서 특강지원이 주로 이루어졌다.
- 이러한 사업들은 대부분 개인적인 참여 형태여서 개인의 역량에 따른 심한 편차라는 큰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고, 수시적 단발적으로 시행되어 사업효과 또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지적 전문성이나 전공분야 기술역량은 매우 높은 수준이나 대상자, 즉 사람을 대하는 태도, 커뮤니케이션 및 코칭 스킬, 청소년과의 눈높이 조절, 강의 및 상담 스킬, MVP(Mission, Vision, Passion)설정스킬, 리더십 등에 대한 역량은 다소 부족하며, 이들 스스로도 이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
ㅇ 따라서 대전시와 대덕특구 고경력과학기술인 지원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 사업에 참여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 개개인의 기본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 다양한 실행역량을 강화 할 수 있는 세부적인 스킬(방법)의 습득 및 객관적인 표준화 메뉴얼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 이에 따라 본 사업은 고경력 과학기술인이 「중소벤처기업 전문컨설턴트」 및 「청소년 진로체험 튜터」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을 역량을 체계적으로 교육시키고자 함.
□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ㅇ 본 사업은 아래의 3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하였고, 이는 지역사회 연계강화 및 과학도시로서의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할 것이다.
* 고경력과학기술인: 대전광역시 소재 정부 출연연구기관 및 대학에서 연구직·기술직 분야에 근무하다가 퇴직한 과학기술인을 말한다(2019.12 대전시 고경력과학기술인지원 조례 제2조(정의))
1. 대전시 연구단지 소속의 퇴직자(예정자) 등 고경력과학기술인을 청소년 진로체험 튜터 (Tutor)로 양성
ㅇ 대전시내 초·중·고교 및 대학생의 진로체험 전담 튜터(Tutor) 인재 풀을 구성하고,
ㅇ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전문역량 코칭과 함께 (신규)현장체험 지원을 병행할 수 있는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여 청소년들에게 고 수준의 의미 있는 진로체험 기회를 제공함.
2. 고경력과학기술인에게 의미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봉사 활동 기회 확충
ㅇ 직장은퇴로 사장되는 고경력과학기술 직무역량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청소년, 중소벤처기업, 학부모 등)과 나눔으로서 의미 있고 보람 있는 인생 3막 활동에 기여함.
2)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ㅇ 고경력과학기술인이 새로운 영역과 분야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기본역량을 강화하고, 분야별 영역별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스킬(방법
을 습득해야함. 이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ㅇ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청소년 진로탐색 튜터링」에 필요한 기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운영
ㅇ 고경력과학기술인의 기본역량을 강화하여 청소년 과학기술분야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과 적용 능력을 향상시킴
□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1)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방법
1차(8.16. 화) : 고경력과학기술인 개인별 청소년진로탐색 분야별 도출(자체강사)
2차(8.23. 화) : 도출된 분야 중 고경력과학기술인들이 지원할 수 있는 분야 및 기관 선정
(구체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완성, 5개분야 현장소개, 자체강사)
3차(8.30. 화) : 청소년진로탐색 분야 리더십 공유(초빙강사 : 조00)
* 초빙강사((사협)나라인재개발원장, 창의적 글로벌 리더십 적용 사례
4차(9. 6. 화) : 청소년진로체험 분야 하브루타 진로코칭 공유(초빙강사 : 최00)
* 초빙강사 ((사)한국사회공언연구원 교수, 하브루타 진로코칭 직업체험 멘토링 사례
5차(9.13. 화) : 청소년진로체험 분야 도출 및 멘토링 프로그램 완성(초빙강사 : 김00)
* 초빙강사((전)SERI부원장, 슈퍼컴퓨터 운영사례 및 과학기술연구개발지원업무 소개)
6차(9.20. 화) : 청소년 진로 탐색 과정 현장 방문
* 각 분과별 연구원 (기업) 탑사 체험 구체화
주관기관 |
|
참여연구원 |
|
담당사업내용 |
||
고경력과학기술인협동조합 |
책임자(조00)외 5명 |
- 사업운영 총괄 - 교류회과정 운영 - 사업비 관리 |
||||
|
|
|||||
|
|
|
|
|
|
|
|
|
|
|
|
|
|
|
|
|
외부 전문 강사 |
|
담당사업내용 |
|
|
|
- 3명 : 제1차(조00) 제2차(최00) 제3차(김00) |
- 교류회 과정 특강 - 특강 교재 개발 - 담당교과목 강의 |
|||
|
|
|
|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ㅇ 기술교류회 운영은 통하여 대전시교육청 2022년도 하반기 청소년진로탐색 사업에 적용
ㅇ 과학기술인 - 수혜기관 - 중소기업의 네트워크 형성
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지역사회 연계강화 및 협력을 통한 과학도시로서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대전광역시의 과학수도로서 대덕연구개발특구와 3군본부가 인접한 계룡대와 자운대의 입지성을 활용하여 과학기술의 집약체인 첨단 무기체계를 보며 과학자의 꿈을 키우고 平和와 軍의 존재 의미를 되새긴다.
□ 기술교류회 참여 및 기타 문의 : ReSEAT사무국 ☎ 02)3460-9176, 9064, 9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