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기술교류회] 옻 페인트 양산화 정제공정 기술개발
- 작성일
- 2022-10-20
- 작성자
- 관리자
- 연구분야
- 기타
- 지원분야
- 기타(자유주제)
- 조회수
- 2303
- 첨부파일
-
옻 페인트 양산화 정제공정 기술개발
기술교류회장 : 양00 ReSEAT 전문위원
□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ㅇ 옻칠은 가구, 공예품 등에 칠하는 전통기술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정제된 옻은 kg당 60–70만원을 호가하고 있으며 90%이상을 중국, 인도, 베트남에서 수입하고 있다. 베트남이나 인도에서는 옻 원액가격이 한국의 1/20 수준이어서 공예품은 물론 가전제품 외에 건축물 등에 적용 기존의 페인트를 옻칠로 대체할 경우 새집증후군, 벌레퇴치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대량정제기술이 개발된다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의 콘크리트 건축에 적용한다면 시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임
ㅇ 기술교류회에서의 추진 목적은 고경력 과학기술전문가를 중심으로 정제기술의 양산화를 민간기업에 이전하기 위한 예비단계로 활용하고자 함
1) 친환경페인트
- 기존 페인트와 다르게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휘발성 유기화합물 같은 유해 성분,
- 환경호르몬 방출이 없는 페인트
- DIY등에 많이 사용되며, 건강을 염려해 수요증가
- 곰팡이, 결로현상 방지 등 기능성
2) 옻 페인트
- 기존의 화학물질에서 얻은 페인트와 달리 옻나무와 같은 천연물에서 채취하여 정제한 페인트 류
- 옻나무수액, Dammar Resin, 낙엽송수액, Shellec(곤충분비물수액), Latex(고무나무수액), 아마유, 명유
- 환경호르몬 등이 전혀 없는 무해한 페인트임
- 전통적인 수공작업으로 소규모의 예술작품과 같은 공예품, 가구 등에 사용해 오고 있음
□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 옻을 정제하는 과정에 옻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분(Urushiol)의 농도에 따른 옻 추출
- 기업의 양산화 제조공정 기술지원
2)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 천연 원료인 옻 고형분을 정제(Refining Tech.)하는 기술
- 옻 고형물 정제플랜트 설계기술
- 목조건축은 물론 아파트나 사무실빌딩의 콘크리트건축물에 옻페인트를 적용하는 기술
□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1)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방법
- 실증연구 TF팀 구성
하노이공대(HUST)고분자공학연구실, KIST 구, 전통과학연구팀 한00박사, 남 박사.
00컬러대표 한00박사 자문
- 연구협력기관
VKIST(Hoa Lac 테크노단지, MOST)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TECH(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치민 베트남센타), HUST(Prof. Huong, 하노이공대, 고분자공학부)
- 벤치 스케일 시험장비 구축

2)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체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 기업에 정제기술이전
- 동남아 및 아랍권 국가 건축물의 화학페인트 대체
- 대형건축물에 옻페인트로 대체
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친환경 건축소재 기술개발에 따른 베트남 건축물의 질적 향상
- 실내거주환경 개선으로 국민 건강에 기여
- 베트남 현지 농?산업기술 집약 향상으로 옻 집산지 지역주민 소득증대
- 한국에 역 수출 및 인접 동남아, 중동아랍국가, 중남미권 시장 확대
- ESG 경영의 리더기업 구현
□ 기술교류회 참여 및 기타 문의 : ReSEAT사무국 ☎ 02)3460-9176, 9064, 9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