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노인 70%가 부모에 경제적 지원…'노노케어' 일상화
- 작성일
- 2019-12-16
- 작성자
- 관리자
- 구분
- 고경력인
- 조회수
- 6762
- 첨부파일
-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향후 10여 년간 증가 후 2028년 5,194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
2067년에는 추계인구가 3,929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분석 결과, 2067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6.5%로 크게 증가해
전체 인구의 45.4%를 차지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2015년 생산연령인구 약 6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하는 사회에서,
50년 이내에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하는 사회,
즉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노년부양비(100.4명)를 가진 사회로 변화될 전망이다.
노인의 가족지원 및 돌봄의 양상도 변화된다. 노인은 가족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지원의 주체이다.
50세 이상 중고령자 중 돌봄 대상은 주로 배우자 또는 부모로 ‘노노케어(老老Care)’ 양상을 보인다.
65세 이상 노인의 62.3%가 자녀에게 고민 상담과 같은 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
노인이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 비율은 69.7%, 반면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 비율은 28.4%이다.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금전적 지원 제공비율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며,
자녀에게 금전적 지원 제공 비율은 60대부터 급격하게 하락한다.
자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 원문 보기 클릭을 하시기 바랍니다.
2019-12-13
시니어타임즈
박인수 기자(rlaqudgjs930@naver.com)
※ 출처 : 시니어타임즈(http://senio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