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이전 고경력 과학기술인들이 청소년 과학교육활동 후 작성한 각종 보고서들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구분
- 과학관 전시주제 심층해설
- 주제
- 낙동강 1천3백리(521.5km) 이야기
- 참여전문위원
- 허완
- 장소
- 국립대구과학관
- 작성일
- 2016-08-12
- 내용
-
해설전시품
낙동강 1천3백리(521.5km) 이야기
자문과학자
허 완
해설시간
10분
□ 심층해설 분야
○ 영남권의 젖줄인 낙동강에 서식하는 어류들을 살펴봄으로서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생함을 설명
□ 특징 및 전시의미
○ 낙동강의 모습을 축소,형상화한 국립대구과학관의 제1전시관(자연과인간)의 대표적 전시물 으로서
?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하여 그곳에 서식하는 어류 등을 수족관에서 관찰함으로써 생동감 있음
□ 이론적 내용 및 원리
○ 낙동강의 발원지인 강원도 태백시 황지 연못에서 5,000톤/1day 이상 물이 나와 강원도, 안동, 대구, 부산을 지나 남해 바다로 흘러감
○ 낙동강 상류의 특징: 빠른 물의 유속으로 흙, 모래가 깎이는 침식작용이 활발(우리나라 고유어종인 쉬리, 참갈겨니, 버들치 서식)
? 낙동강 중류의 특징: 작은 자갈 등이 운반되어지는 운반 작용활발, 어류서식이 가장 많다(고유어종 돌고기, 가시고시등 서식)
? 낙동강 하류의 특징: 모래가 많이 쌓여지는 퇴적작용으로 물이 매우 탁하다(붕어, 잉어, 강준지, 납자루 등이 서식)
? 물, 강, 생물, 자연, 인간 공조 ? 인간은 자연의 일부
□ 그 외 지식 및 생활 활용 분야
○ 물의 자정작용을 하는 곳이 습지로서 습지내 수생식물을 잘 보존할 필요성이 있다(수초, 부래옥잠,연꽃)
? 오염물을 여과, 정수하는 시설 등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자연, 물리적, 화학적 방법)―대구시의 물산업과 연관시키면 좋을 듯
? 4대강 개발로 낙동강에는 8개의 보가 설치되었으므로 생태계 변화가 예측됨.
- 첨부파일
-
- 심층해설.hwp (14KB)
- 낙동강_생태환경_수정본 (2).hwp (3642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