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이전 고경력 과학기술인들이 청소년 과학교육활동 후 작성한 각종 보고서들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구분
- 과학관 전시주제 심층해설
- 주제
- 전통과학기(자격루)이야기
- 참여전문위원
- 탁기수
- 장소
- 국립중앙과학관
- 작성일
- 2015-06-02
- 내용
-
해설전시품
상설전시관 2층(겨례과학관)
자문과학자
탁 기 수
해설시간
20~30분
□ 심층해설 분야
○ 도량형의 의미와 관련된 과학의 원리 파악
○ 시계변천 이야기(옛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알았을까?)
- 선사시대부터 천체관측을 통하여 시간측정과 현대의 시계에
이르는 시계 변천사 설명(물시계, 측우기, 해시계, 혼천시계)
□ 특징 및 전시의미
○ 선사시대와 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천체 관측 설명
- 선조들의 우수한 과학창의성에 대한 이해도 증진
- 현대 과학의 발달로 초정밀 정확한 시간의 필요성
□ 이론적 내용 및 원리
○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천체관측의 필요성 설명
○ 조선초기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으로 전통과학기술 중 시간관련 발명품의 설명
- 물시계(자격루)의 작동원리와 우수성(전시물 사용)
- 측우기, 해시계의 원리와 활용도
- 국보급의 혼천시계의 원리와 우수성, 그에 따른 비화설명
○ 현대의 도량형의 변화와 국제 단위계 설명
- 세슘원자시계의 원리와 활용 설명
□ 그 외 지식 및 생활 활용 분야
○ 원자시계를 통한 국가표준시간 보급(전화 116번의 이용)
- 차세대 시계, 광격자 시계 개발현황(1억년의 1초의 오차)
전통과학(자격루)이야기
Ⅰ. 세종대왕의 업적
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홍보동영상
Ⅲ. 도량형의 의미
Ⅳ. 우리 선조들의 과학관
Ⅴ. 자격루의 구성 및 작동원리
- 첨부파일
-
- 도량형이야기v1피디에프).pdf (10006.73KB)
- 윗글
- 미래자동차
- 아랫글
- 정보통신기기(전화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