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차량용 고강도 강재의 용접부 피로 저항성 결과 분석
- 분석구분
- 대학정보지원
- 과제수행자
- 남*우
- 분석일
- 2012-12-12 10:56:25.0
- 기술산업분류
- 재료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차량용 고강도 강재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재료
- 내용
-
○ 이 연구에서 사용한 시료인 DP440, DP590과 MS강은 차량 경량화를 위하여 개발된 여러 고강도 강에 속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구조부분에 용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용접성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한 피로파괴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 용접부의 인장강도는 모재의 인장강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DP440<DP590<MS강의 순으로 높아졌다. 고강도 모재로 갈수록 용착금속에서 파괴 가능성이 높아졌고, DP590 강재와 같이 중간 정도의 모재 강도에서는 용접 열영향부(HAZ)가 가장 취약한 위치가 되었다.
○ 모재 종류, 용접법, 용접부 형상, bead제거 여부에 따른 피로수명의 변화를 평가하여 각각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용접비드를 제거한 경우, 피로균열은 주로 모재에서 발생하였고 용착부 및 열 영향부에서도 파단 되었다. 반면에 비드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용착금속의 결함에 의한 구조적인 응력집중 효과가 있는 상태에서는 모재와 용접열영향부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예외 없이 용접toe에서 피로파단 되었다.
○ 이종금속(DP590/MS강) 접합부는 동일 용접법 및 용접형상의 동일 강종끼리의 접합부에 비해 약간 낮은 피로수명을 보였다. 이는 두 강종의 용접성의 차이에서 오는 용접결함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 다양한 용접방법으로 시료를 용접하여 여러 가지 용접부위 형태와 용접조직 및 각종의 용접결함이 피로파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피로시험의 각 조건에 대해 파괴위치 및 파괴 형태를 분석하여 피로수명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자세한 내용은 학회지에 제출하는 논문에 제시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