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유기 염료를 이용한 물 전해질 염료감응 태양전지
- 분석구분
- 대학정보지원
- 과제수행자
- 전*진
- 분석일
- 2012-11-13 10:57:38.0
- 기술산업분류
- 화학·화공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유기 염료
- 과학기술표준분류
- 화학
- 내용
-
유기염료를 이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전해질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기반도체로 [bisDMFA-Th]-BT- HxTH3, [bisDMFA-Th]-MonoF-BT-HxTH3 , [bisDMFA-Th]- DiF-BT-HxTH3 세가지 유기반도체가 제조되었다. 이들 유기반도체는 비대칭 donorA-acceptor-donorB(DA-A-DB) 형 으로서 두 가지 서로 다른 donor 인 bisDMFA(=bis(9,9-dimethyl-9H-f luoren-2-yl)aniline)와 HxTh3(=terthiophene) 사이에 acceptor인 BT(= benzothiodiazole)가 위치하는 새로운 유기반도체이다. 이들은 P-형 유기반도체로서 물전해질 작은분자 유기태양전지(Small Molecule Organic Solar Cell, SMOSC) 제작에 사용 한 결과 동력전환 효율이 4.24 %인 매우 우수한 태양전지를 형성함이 성능테스트에서 확인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F 원자가 하나 또는 두 개 치환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F 원자가 유기반도체 합성에 이용 되었을 경우 F 원자가 없는 경우보다 성능이 훨 씬 우수한 태양전지를 형성함이 관찰 되었다. 최대 Voc는 0.89 V로서 효율이 매우 우수한 물전해질 염료감응태양전지가 이 연구에서 발명 되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