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유기발광 디바이스용 녹색 발광재료의 합성

분석구분
대학정보지원
과제수행자
정*진
분석일
2011-04-14 15:36:56.0
기술산업분류
화학·화공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유기발광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
내용
본 연구는 유기발광디바이스(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용 녹색 발광재료인 알데히드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의 유도체는 탈수 축합반응으로 합성되었다. 이들은 전자흡인성의 알데히드류와 전자공여성의 디아민류의 공액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합성실험은, 25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반응물질인 4종류의 4-dimethylaminobenzaldehyde, 4-diphenylaminobenzaldehyde, 3-chromonealdehyde, 6-methyl-3-chromonealdehyde의 각각의 5mmol을 용매인 ethanol 10ml에 용해시키고, 반응시약인 urea, thiourea, semicarbazide, thiosemicarbazide, benzidine, p-phenylenediamine, oxamide의 각각의 5mmol를 용매인 ethanol 10ml에 완전히 용해시킨 상태로 첨가하면서 3시간 동안 110℃에서 환류반응을 행한다. 이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12종류의 녹색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합성했다.
합성된 12종류의 형광물질은 수득률로부터 반응성을 확인했으며, 융점측정에 의하여 생성물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했고, FT-IR과 1H-NMR의 측정결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생성물의 합성여부를 검토 확인했다. 즉, FT-IR측정결과 모두 공통적으로 -CH=결합에 상당하는 신축 진동피크가 1581~1620cm-1에서 확인됐으며, 1H-NMR의 측정결과 모두 공통적으로 -CH=결합에 상당하는 특성피크가 7.5~8.4ppm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Excitation 스펙트럼이 263~365nm에서 나타났으며, Emission 스펙트럼이 468.8~526.4nm에서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녹색을 발광하는 형광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합성한 녹색을 발광하는 12종류의 형광물질은 유기EL 소자로서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다음의 연구에서는 진공증착에 의한 유기EL 소자를 제작하여 이들의 광학적 특성을 자세히 연구 검토하려고 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