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탄소나노튜브 함유 전력케이블용 반도전성 컴파운드 개발을 위한 기술정보 지원

분석구분
중소기업 정보지원
과제수행자
변*호
분석일
2010-03-11 00:00:00.0
기술산업분류
화학·화공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탄소나노튜브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공정
내용
전력케이블은 보통 6kV 이상의 경우 도체 및 이를 동심원으로 에워싼 3층의 고분자 피복층으로 구성된 전력케이블 코어(core)를 갖는다. 이 3층은 순서적으로 내부반도전층, 주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이다. 단심전력케이블의 경우 이 케이블 코어 위에 금속 차폐층 그리고 고분자 기반의 외피가 동심원상으로 피복되어 있다.
내부반도전층 및 외부반도전층은 고분자 기반의 반전도성 층으로 절연체와의 계면에서 금속도체의 첨극에 의한 전기장의 집중을 막아 전기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차폐역할을 한다. 반도전층이 첨극 효과가 없도록 주 절연체와 평활한 면을 이루는 것이 전력케이블 설계의 핵심이다. 33kV까지는 주절연층과의 분리가 쉬워야 접속공사 시의 위험이 적다. 이 이상의 초고압 전력케이블에는 이물질 혼입 등을 막기 위해 접속공사의 용이성보다 완전밀착형 반도전층이 사용된다.
반도전층의 재료인 반도전성 컴파운드는 충분한 전기전도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전류의 통전 여부에 따른 가열 냉각 사이클에서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열팽창 계수가 주 절연층인 고분자에 가까워야 한다. 따라서 고분자 매트릭스가 전도성 충전제를 충분히 함유하여야 한다. 이때 주절연층과의 계면에서 첨극 즉 돌기가 없도록 혼련이 완전해야 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