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친환경 건축공법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차*기
분석일
2011-12-16 09:47:55.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친환경  건축  
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 · 교통
내용
○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기후안정화 수준을 위한 권고 달성을 위해 IEA는 2050년까지 현재 CO2 배출량의 77% 감축이라는 야심에 찬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의 달성에는 건축물부문의 감축이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경제성과 함께 기술적인 문제도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서 도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친환경건축물이 확대 보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성과 효율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친환경건축공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친환경건축공법으로 초고성능 설비시스템 및 능동형 외피통합 모듈시스템 기술, Non-Plug House 기술, 저탄소 친환경 건축자재/마감재의 요소 및 시스템 기술, 초박형 일사조절형 고성능 창호시스템 기술 개발, 보급형 고층아파트용 외장패널 및 단열시스템 기술,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 통합 적용기술, 지능형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BAS, BEMS), 차세대 지능형 홈네트워크 및 스마트그리드 대응, 한국형 고효율 집단에너지 공급시스템 등을 꼽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저에너지건물을 위한 연구를 지속해왔으며 본격적으로 녹색성장, 저탄소혁신을 위한 생활환경을 구축하는 시점에 있다. 따라서 개괄적인 상황 소개보다 현재 국내외의 친환경 건축공법 도입에 있어서 현황과 전망, 전 세계적인 보급추세와 현실적인 기술 및 기술외적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한 단계에 이르렀다. 여기서는 친환경건축공법으로 가장 비용대비 효과가 높은 건물일체형 BIPV, 슈퍼단열재, 초 단열창호를 중심으로 해외 최신기술의 동향과 도입사례, 그리고 국내의 기술수준과 도입사례를 살펴보았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