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건전한 문화 콘텐츠로서의 기능성 게임(serious game)산업 활성화 방안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박*만,남길현,황재룡,박세환,고승철
- 분석일
- 2011-12-13 10:43:15.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기능성 게임
- 과학기술표준분류
- 통신
- 내용
-
게임의 부정적 인식을 완화시키고 순기능성에 의한 문화사회적 가치를 향상시켜 건전한 문화적 콘텐츠로의 기능성 게임 산업 발전과 선순환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기능성 게임에 대한 정부의 정책수립 및 기업의 사업전략 수립에 조력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기능성 게임 산업의 생산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게임 산업의 현황 및 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기능성 게임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능성 게임의 정의 및 산업동향, 기술동향 및 미래전망과 관련된 연구결과의 수집 및 요약, 포럼참여 전문연구위원들의 자료 분석 및 연구, 토론을 통하여 활성화 지향점과 방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기능성 게임 산업 활성화는 기존의 5대 전략 및 실천과제의 기반을 유지하되 ① 콘텐츠 담보대출, ② 공동 사업화와 금융 및 세제 지원범위 확대, ③ 기술인력 지원 및 교육, ④ 학교의 기능성 게임 교육제도화 및 NEIS를 통한 지원, ⑤ 교육/공공/의료/복지/문화부문의 범용 기능성 게임 무료보급, ⑥ 기능성 게임개발업체의 조건부 수익모델 지원 및 인큐베이팅을 통한 개발위험 공유, ⑦ 일정수익 이상시 수혜 가중 및 개발초기 기업 순환투자, ⑧ 글로벌 유통지원 현지화 등의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연구하여 정책에 추가하고 실시 및 평가를 통한 사후관리를 철저히 강화해 가야 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