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산업체 업종별 악취방지 최신기술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진*섭
분석일
2011-10-31 13:43:43.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산업체  악취방지  
과학기술표준분류
환경
내용
악취방지시설 선택 시 악취물질 종류에 따라 제거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거의 모든 물질에 대해 흡착법과 소각법이 유효한 반면, 나머지 방법은 물질마다 제거효율에 큰 차이를 보인다. 흡착법은 초기투자비가 저렴하여 대체로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운영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세정법은 중소기업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연소법은 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배가스 농도가 낮을 경우 연료비가 많이 든다. 초기비용이 많이 소요되나 작동 및 관리가 쉽기 때문에 화학공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 외에 오존산화법, 광촉매법, 플라즈마법 등 많은 방법들이 있다. 이들 방법들은 현재 악취배출원에 적용되어 상용화된 방지시설은 거의 없으며 아직까지 실험중이거나 현장테스트 단계에 있으므로 완벽한 현장검증이 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용화가 되어 있지 않는 방지시설을 설치한다는 것은 사업장 측에서 많은 부담을 안고 설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취물질 제거방안 대책 수립 시에 현재 상용화가 이루어진 방지시설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생산 공정에 악취방지시설을 추가할 때에는 생산 공정의 현실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백필터(bag filter), 습식 scrubber 등 미처리된 분진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지시설 외에 타르성분, 수분 등 전처리장치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