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국제사회의 CCS기술 개발전략과 전망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철,조 만,신희성,이상근,오창섭
- 분석일
- 2011-03-09 10:19:26.0
- 기술산업분류
- 환경·건설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CCS기술
- 과학기술표준분류
- 환경
- 내용
-
CCS기술은 지구온난화와 환경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 중에서도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연구기관들이 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방향과 개발일정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IEA가 CCS기술의 개발전략을 위해 수행한 연구에서는 저탄소 기술을 위한 새로운 정책과 대책들을 실시하지 않고 현재추세를 지속하면 2050년도의 연간 CO2 배출량은 2005년도에 비해 13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감축하기 위해서는 CCS기술이 가장 비용 효과적이며 누적 감축량의 20% 이상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CCS기술은 발전소, 시멘트, 철강, 화공, 가스처리 등과 같이 CO2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산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업장들을 중심으로 CCS기술의 대대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세계의 상용 규모 CCS 프로젝트는 4개 정도에 불과하며, CCS기술의 상업적 실증을 위해서는 최소한 100개 정도의 대형 프로젝트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CCS기술의 보급을 위한 정책적 입장과 비용이나 안전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적 입장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CCS기술의 개발전략과 개발일정에 대한 연구목적은 이러한 입장 차이를 없애거나 또는 CCS기술의 보급에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로 격차를 좁힐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보고서에서는 국제사회가 발표한 연구보고서들에 대한 검토와 전문연구위원들의 토의를 통하여 국제사회의 CCS기술 개발전략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분석하고, 상기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정부정책 및 국내기업들의 대응방안 수립에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요약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