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저탄소 녹색성장의 실천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그리드 개발의 비전과 추진대책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식,오재건,최기상,김해곤,송진원,장인복
- 분석일
- 2011-03-09 09:56:41.0
- 기술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저탄소 녹색성장
- 과학기술표준분류
- 기술혁신 · 과학기술정책
- 내용
-
최근에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미국, 일본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그린에너지 기술 확보는 물론, 저탄소 녹색성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녹색 경쟁(Green race)을 벌이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2008년 8월 저탄소 녹색성장을 신국가발전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하여 국력을 집중하고 있고, 이후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을 수립하였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국가차원의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을 2010. 1. 25 확정하였다. 주요내용은 스마트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先거점구축, 後확산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완료를 목표로 민관 공동으로 2030년까지 총 27.5조 원을 투입하여 2억 3천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누적치), 5만 개 일자리창출(연평균), 74조 원의 내수창출(누적치), 47조 원의 에너지수입비용(누적치), 3조 2천억 원 발전소 건설 설립비용을 절감을 기대한다. 스마트그리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IT 기술과 기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그리드 관련시장은 연평균 19.9%씩 성장해 2014년 1,714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 신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그리드를 새로운 사업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기업은 전력산업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나가야 한다. 또한 정부는 전력산업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IT 산업과 전력산업이 융합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고, 기술표준화 진행 및 경쟁과 혁신을 촉진하는 플랜을 수립해야 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