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바이오연료 생산의 사회적 영향 분석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오*섭
분석일
2011-03-02 15:21:54.0
기술산업분류
에너지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바이오연료     
과학기술표준분류
에너지 · 자원
내용
석유 수송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원으로는 바이오연료가 거의 유일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연료의 생산비용이 낮아지고 있고 세계적인 고유가로 바이오연료의 생산과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녹색 성장정책을 국가 비전으로 정하여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바이오연료의 경우도 보급 확대를 위한 여러 가지 시범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 대체연료로서의 필요성과 온실가스 감축 대책으로서의 역할이 높아짐에 따라 바이오연료의 생산이 큰 폭으로 확대되자 그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던 바이오연료의 부정적 영향도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 영향들은 대개 바이오연료의 생산에 따른 간접적 영향들이며 주로 시장 메커니즘 측면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바이오연료의 간접적 영향들은 정보부족으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한 경우가 많지 않고 온실가스 감축이나 생물다양성 및 식량 소비량 등과 관련된 간접적 영향의 기준이나 표준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아 국가정책이나 기업의 사업전략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연료 대책의 시행과 결과에 상당한 리스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연료 생산의 간접적 영향을 분석한 각국 및 연구자들의 분석 결과를 비교 검토하고 간접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들을 도출하여 국내의 바이오연료 대책과 관련기업의 장기 대응전략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