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그린주택의 도입현황과 전망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차*기
- 분석일
- 2011-02-11 16:37:31.0
- 기술산업분류
- 환경·건설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그린주택
- 과학기술표준분류
- 환경
- 내용
-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 가스를 대량 방출하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이를 최소화한 친환경주택인 그린주택의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도 친환경 지속가능한 상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그린 홈 백만 호 건설을 제시한 바 있어서 그린주택은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의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 화석연료의 소비로 인하여 CO2의 방출이 증가하여 지구온난화는 확대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로 인한 환경온도의 상승을 경고하고 있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로 인한 CO2의 방출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체 에너지 사용의 24%를 차지하며, 이것은 유럽연합의 41%와 미국의 36%와 비교할 수 있으며 건물에서의 에너지효율 향상과 절약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그린주택 관련 동향과 제도 그리고 정책을 검토하였고 해외의 연구수준, 기술수준을 비롯하여 국내의 현재 활용중인 기술도 살펴봄으로써 그린주택에 대한 우리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건물의 형태, 소재지의 기후특성, 방향 등에 대하여 에너지표준에 관한 명확한 기준 없이 여름철, 겨울철 각각 단지 에너지절약이라는 정책적이고 구호적인 차원에서 벗어나 그린주택의 정의와 규정, 기술과 연구의 현황을 돌아보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