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전기자동차용 축전기술의 기술동향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조*만
- 분석일
- 2011-02-11 16:22:29.0
- 기술산업분류
- 일반기계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전기자동차 축전기술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완성차 제조업체와 이차전지 제조업체 및 재료 제조업체들이 상호 협력하여 양산체제를 구축했거나 구축 중에 있다.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산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요소재료들이 다양하여 현재까지는 시장을 지배하는 재료들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들 재료는 합성기법에 따라 특성과 가격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술개발동향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8650형 원통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부터 개량형 리튬이온 이차전지까지, 그리고 혁신형 축전장치의 기술개발동향과 양산체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하이브리드자동차에 대한 Toyota/Panasonic의 협력체제 구축에서 보듯이 정부의 지원과 각종 세제혜택이 부여되는 기간에 관련 제품의 양산체제를 구축하는 기업집단이 기술과 시장을 지배하게 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에서 그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려는 기업집단이 Nissan/NEC 그룹이다.
전기자동차 산업은 수평 분업적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축전장치를 개발하면 완성차 제조업체는 이를 채택하지 않을 수 없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자동차용 축전장치의 개발과 시장 확대를 적극 지원해야할 것이다. 앞으로 전기자동차는 기술수명이 수백 년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으므로 500km의 항속거리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형 축전장치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국가적 개발과제라고 할 수 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