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한 노인복지 정책

분석구분
이머징 기술분석
과제수행자
빅*준,유철로,양배덕,김재균,윤희중
분석일
2010-09-14 11:31:08.0
기술산업분류
전기·전자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스마트 홈  노인복지  
과학기술표준분류
내용
최근 노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2050년에는 세계인구의 약 20%가 60세 이상으로 전망된다는 보고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0년에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로 고령 사회, 2026년에는 20%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독거노인의 전체노인에 대한 비율도 2010년에 19%에 달하여 해가 갈수록 점점 증가할 추세이다.

이러한 노인의 증가 특히 독거노인의 증가는 노인에 대한 안전 및 건강관리가 문제가 되고, 노인에 대한 이러한 관리는 개인적인 문제에서 사회적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노인을 보호하고 감시하기 위한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한 u-헬스케어 기술이 가정에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u-헬스케어 기술의 기반기술인 스마트 홈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과 노인의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도 국내외 기술현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u-헬스케어 기술을 바탕으로 노인에 대한 u-헬스케어 기술뿐 아니라 이러한 u-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정부정책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앞으로 노인에 대한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가 이러한 u-헬스케어 기술을 통하여 해결되기를 기대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