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고용창출 극대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환,박수일,고광국,정덕영,김정식
- 분석일
- 2010-09-14 11:23:02.0
- 기술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고용 정책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무엇보다 중요한 과학기술과 과학 기술력은 결국 사람으로부터 나온다는 이야기처럼 실력 배양과 더불어 인성과 혜안을 갖춘 전문 과학도의 양성을 필요로 한다. 전문성을 겸비한 과학도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추진하여야만 기술도 상품이며, 기술이 우리의 희망이라는 말의 실체를 고용창출 극대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의 위대한 파워를 느끼게 될 것이다. 더불어 고용창출 극대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적 측면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과학기술 인재의 새로운 역할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며, 핵심 과학기술 인재 구축을 위해서 는 개방과 협력을 통한 양성 및 활용의 당면과제를 도출하여야만 한다.
특히 과학기술계를 넘어 정치경제, 인문사회, 문화예술계 등 각계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적 로드맵 도출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학 및 대학원의 고등 교육단계 인재양성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통한 고용의 극대화를 이루어야만 한다. 고용창출의 극대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에서 수요와 공급의 적정화를 이루는 수급정책의 국가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며, 국가 고용창출의 극대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에서 장애요인 분석과 지원 인프라 구축에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밑받침되어야 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