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차세대 성장동력의 핵심으로서 IBNT 융합기술의 개발전략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이*요, 김호근, 심영일, 장대석, 신희덕
- 분석일
- 2010-03-30 21:53:22.0
- 기술산업분류
- 일반기계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IBNT
- 과학기술표준분류
- 기계
- 내용
-
본 “차세대 성장동력의 핵심으로서 IBNT 융합기술의 개발전략” 포럼의 목적은 미래의 경제적, 사회적 이슈해결을 위해 다양한 학제 및 이종기술 간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확보되는 혁신기술로서의 융합기술을 미래 사회의 수요가 기존 제품 및 산업을 IBNT 등의 혁신기술과 상승적으로 조합 및 결합시킴으로써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블루오션(Blue Ocean)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다. IBNT 융합기술은 선진제국들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 태동기의 상태에 있으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연구개발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해서 집중적으로 지원하면 우리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BNT 융합기술은 기술 간의 화학적 결합으로 개별 요소기술의 특성은 최소화되고, 전혀 새로운 특성의 혁신기술이 창출되게 되는 것이다. 포럼의 진행방법은 off-line meeting으로 운영하여 첫째, 주제발표 패널 토의방식과 업무분담을 하였다. 둘째, 주제는 국외 IBNT 융합기술의 개발전략(EU, 미국, 일본 등)과 국내 IBNT 융합기술의 개발전략, 국내외 IBNT 융합기술의 개발전략 비교분석으로 하였다. 포럼은 5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주제의 내용과 토의 결과는 보고서에 수록하였다. 우리나라의 복합기술 혁명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연구활동에 적합하도록 국내 연구개발 체제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융합연구는 다학제간 협력?공동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연구 현장은 실질적인 협력?공동연구가 활발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국내 연구개발체제를 개방형(open R&D)으로 전환하여 연구개발 활동 및 인력의 이동을 장려하고, 융합연구 활동에 적합한 연구개발체제가 구축될 때 연구의 효율성도 극대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시스템이 구축되고 고도의 전문지식 인력이 우수한 우리나라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IBNT 등 이종기술 간의 융합연구를 선도하며, 이를 혁신주도형 경제에서의 성장동력으로 연결시킬 것을 기대해 본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