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폐기물처리를 위한 도시광산 동향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신*덕, 변종각
분석일
2010-01-14 16:23:31.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폐기물     
과학기술표준분류
환경
내용
산업발달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석유화학촉매와 각종 정보통신기기 및 전기전자기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그로 인한 산업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되어 환경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한편 이들 폐기물 중에는 금, 은, PGM 등의 귀금속과 로듐, 바나듐, 니오븀, 리튬 등의 희유금속이 함유되어 이를 회수, 재활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용금속들은 국내외에서 이미 회수하여 재활용되고 있지만 금속량의 유동량 산출과 물질의 흐름을 적정하게 추적조사 분석이 되어있지 않아 금속 리사이클링의 효율적, 경제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에서는 물질의 유통분석과 경로에 대한 평가를 소개하고 또한 각종 분리?회수기술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PCB)에는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로듐(Rh) 등의 귀금속뿐만 아니라 구리와 같은 일반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납(Pb), 비소(As), 베릴륨(Be), 브롬(Br)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고 이의 적절한 대비가 요구되며 국내의 휴대폰 가입자 수가 약 4천만 명(2006년 9월 현재 39,703천명)으로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를 전화 1대당 금(6.8mg), 은(11.7 mg), 구리(11.7g)가 함유된 것으로 본다면 금 272kg, 은 460 kg, 구리 468톤이 전국에서 휴대전화 중에 존재하게 된다.
자원순환형 사회를 목적으로 2000년 이후 리사이클링 관련법규가 추진되어 현재는 전기?전자기기와 자동차가 리사이클링 유통망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회수된 제품은 리사이클링 자원과 폐기물로 분리되고, 리사이클링 자원은 다시 제련과정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현재 리사이클링으로 추출되는 것은 용해방식으로 대량추출이 가능한 철과 알루미늄, 구리 등의 베이스메탈에 국한되어 있고 대부분의 희유금속은 슬래그로 폐기처분되고 있다.
스크랩으로부터 희유금속의 회수는 우선 희유금속의 분리?추출이 필요하지만 최종제품은 소량다종의 원재료가 혼재된 것이 분리?추출의 애로사항이 되고 있다. 금후 리사이클링 풀로우의 확립을 위해서는 이 공정의 효율화가 중요시 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