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폐기물의 고형연료화(RDF, RPF) 및 열 이용 시스템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손*권
- 분석일
- 2010-01-04 16:57:04.0
- 기술산업분류
- 환경·건설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폐기물
- 과학기술표준분류
- 환경
- 내용
-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는 멀지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요청된 지 오래이다. 또한 화석연료 사용은 지구의 환경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기후의 변화까지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변화의 완화를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신 재생에너지원으로서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의 에너지화로 미래의 지구에너지 공급원으로 기여할 가능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용 쓰레기 자원은 약 380만 TOE로 이를 모두 에너지로 전환했을 때 국내 총 에너지 소비량의 2%에 해당하고 이에 따른 CO2의 배출 저감양은 연간 1.06×106t에 달하여 현재 논의되는 탄소세가 도입되면 절감비용은 1600억 원이 된다. 따라서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의 일환인 쓰레기의 고형연료화는 아주 중요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RDF/RDF는 현존하는 기술로서는 폐기물의 처리에 많은 장점을 지닐 뿐만 아니라 대체에너지로서의 역할도 크게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러 나라에서는 RDF(Refuse Derived Fuel) 및 RPF(Refuse Plastic & Paper Fuel)를 생산하고 여러 곳에서 제조된 RDF를 한곳에 모아 소각시키는 증기발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RDF/RPF의 특성 및 제조방법과 이의 효율적인 활용방법과 특히 RDF의 광역화 처리에 따른 이점과 RDF/RPF 사용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상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폐기물 에너지의 경제적 효과와 이에 따른 환경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우선 폐기물의 ①연료화기술 : RDF 및 RPF의 제조 및 저장과 이의 ②열 이용기술 : 발전 및 난방(스팀공급)을 위한 설비동향을 알아본 후 ③RDF/RPF의 보급과 유통시스템: 효율적인 사용과 공급가격 저렴화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