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녹색성장실현을 위한 녹색기술 개발동향

분석구분
이머징 기술분석
과제수행자
신*덕, 변종각, 박환서, 윤종량
분석일
2009-12-24 11:59:03.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녹색기술     
과학기술표준분류
환경
내용
21세기 에너지?기후시대에 새로운 생존?번영패러다임으로 녹색혁명(Code Green)이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녹색성장 및 에너지효율화정책을 국가 핵심 어젠더로 설정하여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Green New Deal 정책은 고용창출과 경제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이다. 한국의 Green New Deal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최근의 경기둔화에 대응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의 Green New Deal은 2012년까지 추진되지만, 장기적 녹색성장전략은 녹색성장 5개년 계획에 따라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2030년에는 스마트그리드가 도입되어 모든 전자기기들이 연결되어 전력생산을 효율적으로 관리, 배분할 수 있는 디지털기술이 설립될 것이다.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는 합리적인 에너지소비를 하게 해준다. 게다가 생산변화폭이 큰 태양에너지 또는 풍력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전력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이산화탄소배출을 줄이고 에너지안보를 향상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의 단위지역 당 배출되는 폐기물은 미국의 9배이며 프랑스의 3.5배이다. 2006년 한국에서 배출된 폐기물은 320,000톤이었으며 2000년 이래로 계속 증가하였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중 폐기물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76%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개발시키기 위해 폐기물-에너지, 농업과 수산업 의존 바이오매스, 저탄소 녹색마을 건설, 산림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폐기물과 바이오매스의 연료화”를 구상하고 있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