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기후변화대책과 우리의 대응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손*권, 변종각, 차성기
- 분석일
- 2009-08-25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환경·건설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기후
- 과학기술표준분류
- 지구과학
- 내용
-
기후변화란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라 지난 100년간(1906-2006)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섭씨 0.74도 상승하면서 지구촌 곳곳에서 나타난 다양한 기상이변 현상을 말한다.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는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지적되었다. 이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이산화탄소가 온난화의 주범임을 공식으로 선언하였다.
지구온난화는 이미 막을 수 없는 지경에 도달했고 이번 세기 안에 인류는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이대로 가면 기상이변과 물 부족 등으로 지구문명은 어려움에 처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태풍,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확대되고, 한류성 대표어종인 명태가 사라지고 동해에서 잡히던 오징어가 서해에 출현하는 등 어장의 변화를 겪고 있다.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대량소비형 사회가 지속될 경우 21세기 말에 지구평균온도는 최대 섭씨 6.4도 해수면은 59cm 상승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97년 채택되고, 2005년 2월 발효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교토의정서는 2008년부터 5년간 선진 38개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2% 의무감축에 들어간 것도 이 같은 인류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우리나라도 2007년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제1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 발리 로드맵에 의해 2013년부터는 국제적인 감축의무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포럼에서는 기후변화대책과 우리의 대응이란 제목으로 머지않아 우리나라에도 닥쳐올 기후변화 위기를 진단하고 우리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