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철강산업의 원재료 수급 현황과 대책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이*식, 최창옥, 최성수, 심재동
- 분석일
- 2009-01-09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재료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철강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전 세계의 철강 생산량은 1974년에 사상최초로 7억 톤을 돌파한 후 26년간 6~7억 톤 대에서 생산이 정체되었다가 2000년에 들어와 급격히 생산이 증가하여 10억 톤을 초과 생산하기 시작하고 있다. 2007년에는 조강생산량 13억 4,346만 톤을 생산했으며 이는 BRICs국가들의 철강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에서도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철강 대량생산 국가로서 철광석과 원료탄 및 합금철을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BRICs의 성장으로 에너지를 비롯하여 모든 철강 원부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지금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때라고 생각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전문연구위원 이원식, 최창옥, 최성수, 심재동은 이 부야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와 5차에 걸친 토론을 거쳐 철강산업의 생산현황과 전망을 가름하고 원재료 수급현황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료의 해외 의존도를 다변화. (2). POSCO의 주물용 선철 년 45만 톤 공급. (3). 합금철의 자급도를 빠른 시일 내에 50%선으로 올린다. (4). 국내발생 철스크랩의 자급도가 100%되기까지는 해외 수입고철의 관세를 무관세. (5) 철스크랩 유통체계의 합리화 방안 마련해야 한다고 결론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