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에너지안보 향상전략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철, 조만, 손응권, 오창섭
- 분석일
- 2008-12-31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에너지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재생에너지 안보
- 과학기술표준분류
- 통신
- 내용
-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란 “적합한 에너지를 여유롭게 또한 신뢰성 있게 공급받을 수 있는 것” 또는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 중단 없이 에너지 및 관련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안보의 확보와 지속 가능한 개발의 보장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은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커다란 도전과제가 되고 있는데, 에너지안보는 전력생산의 부족, 송배전망이나 가스 공급망의 부족, 중앙집중식 에너지 공급구조에 따른 취약점, 세계적인 석유 및 가스 공급량의 한계와 그에 따른 높은 시장변동성 등에 의해 위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생에너지 자원은 보편적이고 토착적인 자원이므로 이를 대체에너지로서 개발하면 에너지안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에너지원을 다변화 할 수 있어 에너지 수요공급 측면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자원과 기술별로 수요공급과 이용여건이 똑같지 않고, 시장점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어 에너지의 종류와 기술별로 에너지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본 포럼에서는 재생에너지 기술의 개발과 보급이 에너지안보의 향상에 기여하는 점에 대해 기술별 논의를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전력생산, 열 생산 및 바이오연료 생산이 에너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는 원자력, 석탄, 석유, 천연가스 및 이산화탄소 포획/저장 등의 정책들도 중요하지만 여기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