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이미지센서의 신기술 발전동향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홍*철
- 분석일
- 2008-12-26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전기·전자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이미지 센서 카메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정보
- 내용
-
피사체의 화상을 기록하는데 있어서 필름을 대신하여 반도체 촬상 소자가 사진에 사용된지 어언 4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되면서 CCD와 CMOS로 대별되는 이미지센서는 초기 30만 화소 대에서 오늘날 1500만 화소 대에 육박하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휴대폰의 폭발적인 수요증가로 휴대폰 부착 카메라(카메라 폰)용의 디지털 이미지센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카메라 폰에서도 300만~500만 화소대의 이미지센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미 1000만 화소의 이미지센서를 탑재한 카메라 폰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유저의 고화질에 대한 열망이 어우러져 카메라 제조사로 하여금 점점 더 고화소, 고품질의 이미지센서를 개발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각 제조사에서는 독특한 개성이 있는 이미지센서를 개발하여 자사 제품의 품격을 높여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지센서가 나아가는 방향의 추세적인 전망으로는 200여년의 세월동안 발전되어온 필름의 감광 메커니즘을 답습하려는 경향이 짙다는 점이다. 어느 제조사가 얼마만큼의 연구 노력으로 필름과 동등한 이미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 되는 셈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급속도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이미지센서의 신기술 발전 동향을 이미지의 고급화와 화질을 중시하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DSLR) 카메라를 중심으로 새로 발표된 신 기종에 적용된 기술과 이미지센서의 특허 현황 및 시장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미지센서의 발전방향과 차세대 기술을 전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을 재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