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플랜트를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발전 방향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양*덕, 유철로, 김재균, 박석준
- 분석일
- 2008-01-02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모니터링 유비쿼터스 플랜트 설비
- 과학기술표준분류
- 에너지 · 자원
- 내용
-
○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에는 프로세스의 온도, 압력, 유량 및 레벨 등의 공정량 감시, 기록, 저장 및 경보 기능과 플랜트 안전관리를 목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플랜트 정보와 더불어 기업경영에 필요한 정보와 결합된 통합시스템으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요소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요건이 될 것이다.
- 센서 및 검출기의 지능화(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wireless sensor 등
- 네트워크 기술의 개발 특히 표준화 : 필드버스, 인터넷 기술 및 무선망 등
- 시스템 통합기술(system integration) : 각 계층별 통합기술 및 각종 소프트웨어 솔루션기술
- 제어기술 : 분산제어(DCS) , PLC 등 기술과 표준화 기술
- 주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 기술 및 주변기기 등
○ 프로세스 시스템의 자동화시스템의 세계시장이 2011년 470억 달러에 달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련되는 HMI 소프트웨어 세계시장은 2010년 4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시장은 아시아 등 개도국의 신규건설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국내 플랜트 감시시스템을 포한한 자동화시스템의 대부분은 외국기술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외국기술의 의존도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관련 요소기술과 기반기술 중에서 선택과 집중에 의한 정책이 필요하며 특히 SI관련 소프트웨어 기술의 국내기술자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개발을 위해서 정부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하에 산업체를 중심으로 학계와 연구계의 협력이 요구된다.
○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지 프로세스의 변수를 측정, 기록 및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프로세스 제어에도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DCS 시스템에 통합되어 프로세스 전체가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플랜트 모니터링 하나만 취급하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단지 프로세스 내에서만 공유되는 것이 아니고 회사 전체 즉 글로벌한 레벨에서 감시 및 최적화하기 위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더 나아가 제어하게 되었다.
○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은 인터넷을 통한 방법과 데이터간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통합하기 위한 툴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최근에 인터넷과 인터넷 사이의 통신에 XML과 실세계와의 인터페이스에 RFID가 프로세스에 사용되게 되고 이러한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프로세스나 공장 또는 회사 전체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 된다.
○ 앞으로는 I/O신호의 변수를 소규모 단위로 패키지화하여 기기 메이커마다 혹은 설비마다 표준화하는 것으로 플랜트 전체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각각의 기능의 고부가 가치화와 동시에 광범위한 표준화로 품질이 높은 제어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 RFID와 같은 센서는 대규모 플랜트를 위한 모니터링에서 많이 사용될 뿐 아니라 일반 물류 이동체에 부착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이다. 현재 고속도의 진출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MW센서 종류가 이용되고 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