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자동차용 알루미늄 합금소재부품 제조법기술동향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최*옥, 최성수
- 분석일
- 2007-12-24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재료,일반기계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자동차 알루미늄 부품 학술정보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과학
- 내용
-
자원절약이나 에너지절약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자동차의 경량화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해서는 자동차의 부품경량화가 수행되고 있어며 에에 대한 방법으로 종래 철강재료로 사용하던 부품을 알루미늄합금소재로 재질의 대체를 이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한 예로서 종래 주철재의 시린다브록으로부터 알루미늄합금의 시린다브록으로 재질이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부품의 소재로서 알루미늄합금부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알루미늄합금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들 알루미늄합금의 부품 생산에는 주조법, 단조법 및 프레스가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합금은 용해온도가 타 금속재료에 비하여 비교적 낮고 합금의 종류도 많아 여러 가지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주조법으로는 사형주조법, 중력금형주조법, 다이캐스팅법, 저압주조법, 고압응고주조법 등이 있으며 이중 다이캐스팅범에 의한 생산량이 전 알루미늄합금주물 생산량의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다이캐스팅기의 개발에 의하여 형체결력의 증가와 더불어 진공다이캐스팅법,, 세미솔리드 다이캐스팅법 등 여러 가지방법이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저압주조법, 중력금형주조법, 고압응고주조법 등도 주조설비와 제조방법이 계속 개발되어 부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용되고 있다. 사형주조법은 사용하는 점결제의 종류에 따른 주형의 종류 이외에 인베스트먼트주조법, 소실모형주조법, Cosworth process등이 자동차용 알루미늄합금주물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자동차관련 알루미늄합금소재부품의 제조에 관하여 발표된 논문을 1991년부터 현재까지 17년간의 발표내용을 조사결과 모두 4432건으로 연평균 260편을 발표를 하였어며 국가별로는 미국, 일본, 독일 순으로 가장 많이 발표 하였어며, 발표된 전체 논문중에 주조법 7.6%, 단조법 2.3%, 프레가공법은 7.7%에 해당하며 또한 자동차용 알루미늄합금소재 부품제조법만으로는 주조법 43.3%, 단조 12.9% 및 프레스가공법 43.3%에 해당 하였다. 한편 주조방법별 발표된 논문은 특수주조법이 28%로 가장 많고 다음은 다이캐스팅법 24%, 사형주조번 21%, 중력금형주조법 12%, 고압응고주조법 8%, 저압주조법 7%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자동차는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그 수요는 국내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자동차의 경량화는 더욱 증가 될것으로 예측 되므로 자동차 시장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알루미늄합금소재부품의 생산량 증대는 필수적이므로 제조기술의 개발동향 조사와 연구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