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식품 안전을 위한 식품군별 위해 요소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차*진, 신국현, 백병학, 이형재
- 분석일
- 2007-12-24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식품·의약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식중독 식품 안전 위해요소
- 과학기술표준분류
- 정보
- 내용
-
○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연간 평균온도가 상승하고 있고,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계절에 관계없이 광범위해지고 증가하고 있다. 식품 안전은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모든 분야에 걸쳐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속적 관리, 실천이 없이는 보장될 수가 없다. 철저한 개인위생 개념과 식품 공급 사슬에서의 잠재적인 식중독 발생의 위험을 지속적 홍보를 통해 국민 스스로의 식품 위생 문화와 의식을 고취시켜야 한다.
○ 많은 식중독의 발생 원인은 부적절한 식재료 재배․가공․취급과정, 적정온도 유지 실패, 개인위생 불결, 2차 오염된 식재료, 그리고 부적절한 세정 및 조리법 등으로 보고 있다. 즉, 제품의 특성에 따라 기본적인 필수 사항을 숙지하고 매뉴얼대로 보관 방법을 준수하고 보관 및 유통 단계에서의 교육 훈련 및 지도가 필요하다.
○ 식품의 안전성은 외관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소비가 된 후에 판명되기 때문에 많은 경우 오랜 시간에 걸쳐 소비한 후에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국가적으로 관리되어 식품공급 체인( Food supply chain) 전반을 포괄하여 사전 예방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강력한 행정 조치와 더불어 계몽적인 지도 과정을 도입해야 한다.
○ 세계적으로 식품 문화 교류 흐름에 맞추어 우리나라에도 생산에서 유통까지 통합적인 농수산축산물 안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HACCP, GAP, GMP, SSOP, 추적성 시스템, ISO 22000 등 과학적인 위생 관리제도 및 시스템을 도입 정착시켜야겠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