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스마트 홈 산업의 발전방향
- 분석구분
- 이머징 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양*덕 ,장대석, 신동필, 박석준
- 분석일
- 2007-12-24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스마트 홈 산업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산업
- 과학기술표준분류
- 보건 · 의료
- 내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는 전문 연구위원으로 하여금 2007년 10월중에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를 위하여 10개 과제에 대한 포럼을 개최토록 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로 “스마트 홈 산업의 발전방향”은 4명의 전문 연구위원이 9월4일부터 10월 18일까지 5회에 걸쳐 실시한 포럼 내용을 발표 내용별, 시간 별로 정리하여 여기에 책자로 발간하였다.
스마트 홈이란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을 실현하여 집 주인이 집에 있던, 집 밖에 있던, 가족과의 통신은 물론이며 집안의 보안을 제어 할 수 있는 집이다. 또한 그러한 안심ㆍ안전을 갖추고 또 로봇의 도움이나 자동화의 편리성을 갖춘 집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관련되는 중점산업을 찾아내고 활성화 방안을 찾는 데 포럼의 초점을 맞추었다.
매회 포럼은 장소를 바꾸어 가며 실시하였다. 각 위원들의 주장을 발표하고 매회 토론결과를 정리하였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홈 네트워크가 가장 강조되었으며 집안의 도우미 로봇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네트워크에서는 플랫폼(platform) 기술, UWB 및 Zigbee와 같은 유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이들을 융합하는 기술로 발전방향이 옮겨가야할 것으로 결론되었다. 로봇에서는 도우미 로봇으로서 청소 로봇이 가장 강조 되었고 복잡한 기능 보다 단순하며 경제성이 있어야 보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특히 애프터서비스가 강조되었다.
스마트 홈을 위한 스마트 홈 기기의 규격화의 필요와 이에 따른 필요한 제도를 정비하고 이를 위한 학회나 협회에서 워킹 그룹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