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알루미늄 제품의 양극산화피막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최*수, 최창옥
분석일
2007-12-24 12:00:00.0
기술산업분류
재료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양극산화피막  알루미늄  전해액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공정
내용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 및 군사 전략 물자라고 해야 할 무절제한 니켈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번에 채택되지 않은 포럼 신청서 “전략물자 니켈자원의 국가 관리”와 함께 신청 되었던 것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니켈은 이미 국가가 관리하는 전략 물자다. 미국에서는 민수용으로 니켈을 사용할 수 없다. 부엌 싱크대 정도가 허용됐을 뿐이다. Ueki Tatsuya(植木龍也)(12)에 의하면 현재 일본은 니켈, 크롬,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망간, 바나듐 7종의 희소금속을 국가비축이 필요한 금속으로 지정하고 있다. 아마도 그 소비의 적합성 내지는 타당성 판단에 국가가 관여하고 비축 재고를 관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최근에는 여기에 바나듐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이 Kiyoharu kuwabara(桑原淸治)의 “지르코늄화합물의 용도의 현상과 개발동향(13)”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대하여 세계열강이 예외가 없으리라는 것에는 의문이 있을 수 없다.
KS D 8301에서는 부엌 용품의 양극산화 피막 두께를 5㎛ 이상에서 25㎛ 이상까지라는 있으나 마나한 규격을 만들어 놓고, 업자는 실제로 양극산화막이 거의 없다시피 한 부엌 용품을 양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대로 양극산화 된 알루미늄 부엌 용품 없는 니켈 절약은 헛구호일 뿐이다.
당장에 부엌 용품의 양극산화 피막 두께를 20㎛ 이상으로 규정하고, 반드시 지키게 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 일에는 KS D 8301 제정 및 수정에 관여한 자들의 간섭이나 참여를 완전 배제할 것이 요구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