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고경력 퇴직과학기술인의 기술컨설팅 활성화 방안

분석구분
이머징 기술분석
과제수행자
신*필, 김홍기, 김하진, 양배덕, 장대석
분석일
2007-12-13 12:00:00.0
기술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ReSEAT프로그램  기술컨설팅  퇴직과학기술인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공정
내용
○ 본 포럼은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정부, 연구소, 기업 지원 및 협력 방안과 이와 같은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활동과 처우개선 등에 관한 제도적 보장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따라서 토론 진행 내용을 정리한 본 보고서 전체가 관련 기관이 참조해야 할 정책제안서이다. 토론의 요지는,
○ 정부기관과 출연연구소에서 수행하는 정책 수립이나 연구사업에 고경력 고급두뇌를 효과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활용하여 정책이나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 정부 부처나 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사업에 협력하여 사전 연구, 타당성 검토, 제안서 작성, 특허성 기술 검토, 연구보고서 평가 등의 차원에서 참여할 수 있다.
- 세계 100대 과학기술 동향의 책자를 발간하고, 과학기술백서를 고경력 과학기술인이 관리하여 디지털화하는 것이 전문성과 경력으로 볼 때 바람직하다.
- 경제 총괄 및 예산 당국과 협조하여 각 부처의 기술 개발의 중복 연구를 조정하는 시스템적 역할을 하여야 한다.
○ 국제간의 기술 격차, 고유가, 저환율 같은 환경적 요인과 고임금, 내수부진과 같은 국내 요인 등으로 인하여 기업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고경력 과학 기술자들이 새로운 과학 기술의 컨설팅과 교육 등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희망 중소기업에 고경력 과학기술인 팀을 파견하여 기업 재활과 번영을 위한 맞춤형 진단과 번영 대안을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 ERP, BPM, CRM 같은 IT 경영 기법, 분야별 전문 기술 등을 교육을 통하여 전수해야 한다.
○ 현재 ReSEAT가 시행하는 정보 분석 사업의 모니터링 분석과 기술동향 분석은 기관이나 분석자의 임의 선택 주제라고 보아야 한다. 한정된 자원으로 높은 정보보급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산업계시장의 정보수요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문헌의 요약과 결론만 분석하여 발 빠르게 정보 더듬이 서비스를 하는 Techno-radar 기법을 제안한다.
- 산업체 요구에 기반하여 선정한 분야와, 내부적으로 기술 문헌을 대폭 한정하여 선정한 분야에 집중하여 분석 서비스하여야 한다.
○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같은 수준의 고경력 고학기술자 활성화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미국의 ADEA, RE-SEED, Retirement Job Inc., Green Thumb, 일본의 고령자 고용안정법 등).
- 여기에 포함되어야할 시책으로는 정년의 연장, 폐지, 동일 직장 또는 타 직장 재취업, 연금 후 시간제 및 전일제 노동 가능한 제도, 현행 각종 활용 정책의 규모 확대 등이다.
- 상기 내용에 관한 법령인 가칭 ‘고경력 과학기술자 활동 촉진법’의 제정과 전담기구인 고경력 과학기술자 지원 센터(S³C)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