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DMB와 DVB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장*석,김정수,김재균
분석일
2007-02-06 12:00:00.0
기술산업분류
정보통신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DMB  DVB  비즈니스모델
과학기술표준분류
정보
내용
우리나라는 지상파 DMB를 세계 최초로, 위성 DMB를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상용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상파 DMB는 유럽의 DAB 표준인 Eureka-147 방식을 확장한 것이며, 위성 DMB는 일본 Toshiba Co.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CDM 전송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이 시장에서 장기간 검증되지 않은 신규 미디어이므로 새롭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며, 국내외 산업 동향에 걸맞은 발전 전략을 세워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일본의 위성 DMB, ISDB-T ,유럽의 DVB-H, 미국의 MediaFLO 방식들이 상용화되기 시작하였거나 2006년 하반기부터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유럽국가, 인도, 중국, 호주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이 DVB방식을 도입하였거나 도입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DMB 및 DVB는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의 대표적인 형태이므로 방송분야 및 통신분야 정부, 산업체, 학계, 연구계 등이 적극적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이 분야의 산업을 크게 발전시키고 세계 시장의 선점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 방송·통신추진위원회가 출범하였으므로 국내외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세계 최초의 DMB 상용화 국가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