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기술개발동향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오*갑,박로학
분석일
2007-02-06 12:00:00.0
기술산업분류
화학·화공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OLED  발광시스템  플라스틱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공정
내용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응답속도가 TFT-LCD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르고 자체발광시스템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무게를 TFT- LCD의 3분의 1로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박막,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유연성, 180도 의 광시야각, 저소비전력, 간단한 제조공정 등 우수한 특성과 저렴한 생산공정으로 LCD, PDP에 이어 가장 유망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기발광체등 원천기술에서는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뒤져 있으나 제조공정기술, 상품화 기술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어 2005년 세계시장 점유율에서 한국 53%, 대만 34%, 일본 18%로 TFT-LCD, PDP에 이어 OLED에서도 한국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PMOLED가 OLED 시장을 주도해 왔으나 2006년부터 AMOLED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며 중대형 TV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2~3년 후에는 디스플레이 전체 시장의 재편성이 불가피하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