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가공기술은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법으로 철, 금속,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등을 가공 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매크로-레이저가공기술과 마이크로-레이저가공기술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매크로-레이저가공기술은 주로 철강, 자동차, 선박, 항공 산업 등 중공업분야에서 확대·활용 되고 있으며, 마이크로-레이저가공기술은 최근에 극초단펄스레이저와 UV단파장레이저가 개발됨에 따라 전기, 전자, 반도체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의 레이저가공기술 관련 산업정책 및 R & D 투자, 최근 5년간의 연구개발 동향, 연구기관 수와 수준, 기술특허의 흐름,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업체의 기술력 등을 비교분석하고, 레이저가공기술의 전망, 핵심기술, 당면과제 및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제언을 기술하였다. 주요국의 레이저가공기술 전체경쟁력은 미국, 유럽, 일본이 대등하게 1위이고, 다음은 한국 순으로 평가된다. 한국은 국가의 레이저가공기술 관련 정책의 우선순위 및 R & D 투자, 레이저가공기술의 연구개발 수준, 특허건수, 관련 생산업체의 기술력 등에 있어 가장 열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레이저가공기술개발은 미국, 독일, 일본과 같은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R & D 지원체제가 없어 국가프로젝트로 지원되지 않았으며 최근(2002년)에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으로 지원이 시작된 초기단계이며, 국내 레이저가공기기 산업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집중투자와 연구인력 확보 및 복합적인 연구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므로 철강, 자동차, 조선, 항공, 반도체 산업과 나노기술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가공기술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이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