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연료전지의 수소센서연구 동향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손*목
- 분석일
- 2003-11-19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에너지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수소센서 연료전지
- 과학기술표준분류
- 에너지 · 자원
- 내용
-
연료전지의 수소는 사회가 수소경제 쪽으로 이전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일자리를 만들어 갈 것이다. 연료전지에서 수소센서는 중요한 기술부분이며, 이는 연료전지자동차의 실용화의 중요 단계에 있다. 수소센서의 연구방향은 전기적인 방법, 광학적인 방법 그리고 기타 전기화학적인 방법 등이 있다.
가장 많은 센서로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센서와 가스 MOSFET이 있는데, 산화물 반도체형의 경우 센서의 오염과 가스 MOSFET의 경우는 절연체 내의 이온 드리프트 현상으로 안정된 신호를 얻는데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전기적으로는 백금 또는 팔라듐과 같은 금속에 수소가 흡착하면 금속의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인데, 전기적 방전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지적한다. 광학적 방법은 수소에 노출된 부분에 빛만 보내면 되기 때문에 폭발 위험은 줄일 수 있으리라 보는데 아직 연구해야 할 내용이 많다.
프로톤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전기화학식 수소센서는 측정기기의 규모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점에서 연료전지용 수소센서는 현재 본격적으로 연구개발 단계임을 알수 있고, 국내기술도 그간의 센서 연구 저력을 이용하여 연구에 정진하고 있기 때문에 가시적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