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기능성 필름에 의한 청과물의 선도연장 기술
- 분석구분
- 기술동향분석
- 과제수행자
- 박*현
- 분석일
- 2003-10-31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바이오,식품·의약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청과물 선도연장 기능성 필름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과학
- 내용
-
청과물을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봉지로 밀봉포장하면 호흡작용에 의해 포장대(包裝袋) 내의 산소농도는 낮아지고, 탄산가스 농도가 상승하여 가스분위기 조성이 달라지므로 신선 농산물의 호흡억제, 클로로필의 분해억제, 에틸렌 생성 억제 등의 선도보지 효과가 얻어진다. 이것을 MA 효과라고 한다. MA 효과를 기대하여 행하여지는 선도보지 포장이 MA포장이다.
필름포장에서 분위기 가스 조성은 필름의 가스 투과성, 두께, 표면적, 청과물의 종류나 양(호흡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들 관계가 1960년대에 Tomkins나 Marcellin에 의해서 밝혀지게 되어, MA포장의 이론이 확립되었다. 일본에서는 소화 30년대에 준곡(樽谷)등이 성공적인 결과를 발표하므로 일반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이와 같은 청과물의 선도연장을 위한 기술개발의 하나로 일본 등에서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처리 등의 새로운 기술로 신선농산물의 생리기능을 보호하여, 그 선도를 연장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어, 그 연구시험결과와 활용 실태를 소개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