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셀룰로오스와 라이오셀(Lyocell) 섬유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김*수
분석일
2003-09-22 12:00:00.0
기술산업분류
화학·화공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Lyocell  NMMO  셀룰로오스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공정
내용
지구상에서 가장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생물자원의 하나는 셀룰로오스이다. 지구상에서 육상, 해상을 포함하여, 셀룰로오스는 연간 약 1,000-1,500억 톤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한 반면에 세계의 펄프 생산량, 전체 섬유 생산량 및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의 총합계는 약 3-4억 톤이다. 셀룰로오스계 재생섬유에 있어서는 약 100년 전 비스코스법 및 동암모니아법에 의한 제조가 공업화되었고, 이후 이에 의한 섬유공업은 제2차 세계대전까지는 큰 영화를 누렸으나, 합성섬유 나일론이 등장한 이래 퇴보를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 셀룰로오스 용매들이 발견됨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신섬유 개발이 기대되고 얻을 수 있게 되었다. N-Methylmorpholine-N-oxide(NMMO)는 셀룰로오스의 직접 용해(溶解) 용매이고 섬유 제조공업(라이오셀 공정)에 이용되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라이오셀(Lyocell) 섬유제조 그 자체는 펄프나 용제에 아무런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본질적으로 완전한 물리 공정이어야 한다. 그러나 셀룰로오스/NMMO/물 시스템에는 몇 가지 부반응과 부산물이 발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공업화된 NMMO 용매계 신인견사 섬유의 특징과 향후 전망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