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처리기술 동향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유*신
분석일
2003-08-14 12:00:00.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재료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소각재  생뢀폐기물  소각로
과학기술표준분류
재료
내용
생활폐기물의 처리 현황은 95년에는 매립이 72.3%, 소각이 4.0%, 재활용이 23.7%였으나, 매립비율은 꾸준히 감소하였고 소각 및 재활용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각비율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소각 후 잔재물의 발생량도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2001년에 소각재는 약 40만 톤이 발생했으며, 이중 바닥재는 약 35만 톤, 비산재는 약 5만 톤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바닥재는 주로 철, 유리, 도자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적절한 처리를 함으로써 재활용의 가능성이 높지만 국내에서는 주로 매립 처리되고 있으나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는 바닥재를 도로건설의 경량 골재로서 이용하거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등 바닥재의 60∼90%를 재이용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된 소각재 중 바닥재 주 대상으로 하여 물리적.기계적 성질 및 조성 등 제반특성과 국내의 소각재 발생현황, 국내외 바닥재 재활용 기술 및 재활용 현황 등을 검토하여 바닥재의 적정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