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고속철도시대의 철도역의 역할 및 동향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안*희
분석일
2003-06-30 12:00:00.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정보통신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철도역사  철도역  복합역사
과학기술표준분류
정보
내용
21세기형 철도역은 지금까지의 철도역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한다. 철도역이 단순한 승객수송과 화물운반을 위한 정차역 즉, 단순한 교통연결의 물리적 장소에서 교역과 정보교환을 위한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도시의 공공시설, 지역사회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통하여 도시와의 조화를 꾀하는 핵으로서 변모하여야 한다. 21세기 간선교통수단으로 부활하고 있는 철도에서는 모든 시스템의 기능이 종합된 철도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철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도산업구조개혁과 함께 고속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기존 철도역은 고속화라는 정책목표에 맞게 정비되어야 하며 신선을 건설할 때에도 수요가 적은 소규모 역의 설치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수송수요가 적어 경제성이 없는 역은 점진적으로 폐지하여 적정 역간거리(최소 20km)를 확보함으로써 열차운행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도정책의 목표는 철도가 다른 교통수단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철도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며,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시간, 접근성, 비용(요금) 등에서 다른 교통수단 보다 유리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철도의 고속화를 통한 운행시간의 단축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왜냐하면, 현재와 같이 철도의 운행속도와 서비스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는 아무리 철도의 중요성과 철도이용을 강조하더라도 철도이용이 늘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고속철도의 역사는 우리나라도 One-sided type이 아닌 Head type의 역사가 건설되어 철도차량이 도심지역을 통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