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고령화 사회와 happy drugs
- 분석구분
- 과제수행자
- 김*한
- 분석일
- 2003-04-29 12:00:00.0
- 기술산업분류
- ,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happy drug 고령화 사회 삶의 질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수명연장에 따른 고령화 사회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의약품 개발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의약품은 단순히 삶을 위협하는 질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연장된 수명을 즐기며 고통 없이 살 수 있는 삶의 질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의약품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삶의 형태를 바꿀 수 있어 ‘life quality improving drug', 'lifestyle drug' 또는 ’happy drug'이라고 불리어진다. Happy drug은 뚜렷한 질병도 아니면서 인간의 생활을 매우 불편하게 하는, 말하자면 고통과 불편의 중간쯤에 해당하는 증상들을 적응증(?)으로 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일상생활의 사소한 불편까지 약물로 해소하려는 인간의 욕망과 지속적인 수요의 확보 및 보험급여의 비적용 등의 장점이 제약기업의 신제품 개발전략과 맞물리게 되어 현재 많은 종류의 happy drugs가 선보이고 있으며 계속 새로운 제품들이 등장할 전망이다. 국내 시장에서도 발기부전치료제, 탈모치료제, 비만치료제, 피임제, 항우울제, 골다공증치료제 등 다양한 제품들이 발매되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