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레미콘에서 혼화재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당위성에 대하여

분석구분
기술동향분석
과제수행자
최* 롱
분석일
2003-04-23 12:00:00.0
기술산업분류
환경·건설,재료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콘크리트  혼화재  고로슬래그
과학기술표준분류
재료
내용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2002년 8월 한국산업규격 KS F 4009(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혼화재의 종류에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추가하는 규격 개정에 착수하여 2002년 2월 개정안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사전에 기술적 검토를 하도록 약 1년 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2004년 4월1일부터 시행키로 공표 하였다. 1965년 레미콘이 도입된 이래 레미콘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으로 2002년 말 현재 전국 750여 개 공장에서 약 1억 입방미터의 레미콘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기업 시멘트업체에서 생산되는 약 5,500만 톤의 시멘트는 대부분 중소기업 레미콘 공장에서 ‘굳지않은 콘크리트’인 레미콘으로 제조되어 각종 건설현장에 공급되고 있다. 이렇게 시멘트와 레미콘은 불가분의상생관계인 데도 불구하고 ,그 동안 레미콘에서의 혼화재로 플라이애시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을 두고 지루하고도 소모적인 논쟁을 벌려와 건설 및 환경분야 등 국가 산업 발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소모적인 논쟁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고로슬래그를 레미콘에 혼화재로 사용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고찰하고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보고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연구결과와 사용현황을 중심으로 기술적 타당성을 논하였다. 고로슬래그를 레미콘에 혼화재로 시멘트 치환율 30%이내에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강도발현 특성에서도 초기 압축강도는 대등하며 14일 이후 중기 및 장기 강도는 대폭 향상된다. 그리고 굳은 콘크리트에 치밀한 미세구조가 형성되어 수분이나 탄산가스의 확산이동이 억제됨으로써 내구성 지배인자인 중성화 속도가 감퇴된다. 따라서 압축강도의 증대와 중성화 속도의 감퇴가 상승효과로 작용하여 콘크리트의 총체적인 내구성이 증진된다.
고로슬래그는 철강산업의 부산물로 이의 자원 재활용이 우리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레미콘에 혼화재로 사용되면 시멘트를 일부분 대체함으로써 온난화가스 감축은 물론 자연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감으로 국가 경제에 유익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금번 레미콘에 혼화재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KS규격을 개정한 것은 기술적, 사회적 제반 여건을 반영한 타당한 조치인 것이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