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각국의 CO2 처리기술 개발 전략

분석구분
과제수행자
김*설
분석일
2003-02-10 12:00:00.0
기술산업분류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이산화탄소 처리기술  이산화탄소 회수처리  
과학기술표준분류
내용
교토의정서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감축할 것을 의무화 하였고 국가 간의 CO2 회수, 처리기술의 연구에 경쟁이 시작되었다. UN의 WMO, UNEP는 기후변화협약을 관장하고 있으며 그 실무적 역할은 IPCC에서 수행한다. 미국의 종합적인 CO2 대응 프로그램은 1990년 초반부터 작성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100년 뒤 대기 중의 CO2 농도를 550ppm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CO2 회수 및 저장비용을 2015년까지 10불 이하로 낮추며 평균 전력요금에 영향을 kWh당 1센트 이하로 제한함을 목표로 2015년까지 921.7백만 불의 예산을 사용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은 1990년 이후 RITE(지구환경기술연구기구)와 전력회사를 비롯한 많은 연구기관에서 CO2 회수 및 처리기술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여 세계에서 가장 앞 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을 바탕으로 NEDO를 중심으로 국제협약사업을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부과되지 않고 있으나 선진국으로부터 강력한 자발적 감축선언의 압력이 예상되어 1992년부터 “국가선도기술개발 사업”과 1994년부터 “청정에너지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