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식물유래 바이오폴리우레탄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고*성
분석일
2013-01-09 00:00:00.0
기술산업분류
화학·화공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식물유래  바이오폴리우레탄  
과학기술표준분류
화학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석유자원의 매장량 한계와 친환경 재료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수용에 따라 바이오 폴리우레탄의 연구개발 현황을 파악하여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iencedirect.com, ndsl.or.kr, wipo의 자료를 근거로 바이오폴리우레탄의 연구개발 방향성을 파악하였다.
바이오폴리우레탄은 원료 중의 식물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부가 고분자이다. 피마자유의 주성분은 히드록시기를 갖는 ricinoleic acid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이외의 히드록시기가 없는 식물유는 이중결합 위치에서 에폭시화 후 고리열림, 히드로포르밀화 후 수소첨가, 가오존분해 후 수소첨가 반응으로 히드록시기를 부여한다. 이외에 이중결합에 불포화 무수산의 부가결합 후 글리콜의 후속 결합으로 히드록시기가 부여된다.
처방 조절로 폴리우레탄은 강도, 경도, 밀도를 광범하게 조절할 수 있다. 용도는 연질 폼, 경질 폼, CASE(coating agent, adhesive, sealant, elastomer)의 세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원유의 점진적 고갈, 친환경 및 지속가능 원료에 대한 요구 증대에 따라 폴리우레탄 제조는 점진적으로 식물유 유래 바이오 폴리올이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