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원격진찰 시스템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이*요,신효순
- 분석일
- 2012-12-04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일반기계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원격진찰
- 과학기술표준분류
- 기계
- 내용
-
최근 들어 인구의 고령화와 IT 기술의 발달 등으로 원격진찰(의료)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전화통화로 제한되었던 원격진찰(의료) 은 초고속 인터넷 보급의 확대로 영상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통신기술의 발달로 원격진찰(의료) 시스템을 통해 전문의가 있는 대형병원에서 멀리 떨어져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지역의 환자들에게도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할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원격진찰(의료) 이 실시되면 원격지에 있는 환자에게도 전문적인 의료를 제공할 수 있어 의료 서비스의 지역 편중을 해소하고, 의료관련 지원을 확대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의료비 절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원격진찰(의료) 관련 제도의 개선으로 원격진찰(의료)도 의료행위로 인정함으로써 보험수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의료 시스템을 통해 신개념의 미래의료 서비스 환경을 구축해 나감으로써 궁극적인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의사의 활동영역이 단순히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생활 속 건강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 치료 순응도의 개선, 자기치료 지원 등으로 확대되고 의사와 환자의 관계도 치료자와 수혜자의 관계에서 건강의 동반자로서의 발전적 전환이 예상된다. 최근 들어 논의되고 있는 원격의료의 법적 허용문제도 증거의 부족, 진료영역의 혼란 등의 비판도 필요하지만 새로운 의료의 영역으로서 적합성, 유효성 등의 검증과 이에 따른 발전적 적용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