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오픈마켓 서비스 플랫폼 기술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최*현
- 분석일
- 2012-12-04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오픈마켓 서비스
- 과학기술표준분류
- 통신
- 내용
-
○ 해외에서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로 알려져 있는 오픈마켓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상에서 다수의 공급자와 다수의 구매자간에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축된 온라인 시장으로, 기존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던 불필요하고 복잡한 거래과정들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변화되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오픈마켓은 개인 또는 소규모 업체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상품을 등록해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쇼핑몰을 시발로, 애플의 앱스토어(App store)와 같이 스마트폰에 탑재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 등으로 발전해 왔다.
○ 최근에는 지식경제부가 소프트웨어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거래할 수 있는 장터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마켓플레이스를 개설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한 종류인 SaaS는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시스템으로, IT 자원의 이용방식을 ‘소유’의 개념에서 ‘임차’의 개념으로 전환하여 외부의 컴퓨팅 자원을 사용한 만큼만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 SaaS에서 다수의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상에서 사용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정액 또는 사용한 서비스 사용량만큼 지불함으로써 소프트웨어나 운용 서버를 운영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지 않고 관리 비용이 낮아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 SaaS 기술은 세계적인 시장조사 회사인 가트너가 2009년 발표한 향후 10대 전략기술 중에서 두 번째를 차지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요소 기술로, 가트너는 오는 2015년까지 전세계 SaaS 시장이 약 17% 성장하고, 특히 아태지역과 서유럽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SaaS를 기존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와 비교해 보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하는 점에서는 같으나 사용자를 위한 커스터마이징을 ASP처럼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된다.
○ SaaS 서비스를 위한 기술은 인프라스트럭처(이하 인프라),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SaaS 인프라는 하드웨어, 네트워크, 데이터 등의 컴퓨팅 자원을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추상화시키는 기술 전반을 말한다. SaaS 인프라 기술은 고객의 요구 사항을 즉각 반영하고, 하나의 서비스를 여러 고객이 공유하여 사용하게 하는 하드웨어의 가상화, 분산화 및 병렬화 기술을 들 수 있다.
○ SaaS 플랫폼 서비스는 인프라로부터 제공되는 컴퓨팅 자원을 추상화하여 동일한 개발 환경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로, 별도의 추가 개발 작업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설정을 통해 손쉽게 구축하게 해주는 데이터 모델 관리 기술이 요구된다. 플랫폼 기술로는 웹 기반 개발 및 운영 환경 기술, 물리적?논리적 데이터 관리 기술, 멀티테넌트 기술, 부하분산 기술 등이 있다.
○ SaaS 애플리케이션은 SaaS 플랫폼 기반 하에 개발된 웹 오피스, CRM, ERP 등 각종 응용 서비스들을 말한다. SaaS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건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웹을 통해 고객이 직접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SaaS 서비스는 통합과 고객 지향적 관점에서 몇 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체계를 SaaS 성숙도 모델이라 한다. SaaS 성숙도 모델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ASP 형태의 서비스를 지칭하는 커스터마이징된 단일위임 단계를 시작으로, 순수 단일위임 단계, 단일공유 단계, 다중공유 단계까지의 4단계 모델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 SaaS 서비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집단(조직)을 테넌트(Tenant)라 부르는데 멀티테넌트 기술은 단일 인스턴스를 복수의 고객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말한다. SaaS성숙도 발전단계에서 나타나듯이 멀티테넌시는 SaaS 플랫폼의 중요한 특징이다.
○ 멀티테넌시란 소프트웨어의 단일 인스턴스가 SaaS 공급자의 서버에서 실행되면서 다중 테넌트들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 있어서의 원칙으로, SaaS 플랫폼 기술의 핵심 요소이다. Gartner는 멀티테넌시의 모델들을 5가지 형태로 제시했다.
○ SaaS는 차세대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향후 웹 기반의 서비스 모델에서 유선통신망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통한 유·무선통합 서비스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