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중소형 열전기병합 원자로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김*철,오창섭
분석일
2012-11-14 00:00:00.0
기술산업분류
에너지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열전기병합  원자로  
과학기술표준분류
에너지 · 자원
내용
상용 원전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부터는 규모의 경제성과 안전성에서 우위를 보인 대형 원전이 세계적인 대세가 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투자비와 전력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은 중소형 원전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표명해 왔고 또한 최근에는 지역난방, 공정 열 및 수소 생산 등의 비 전력 분야 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소형 원자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는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중소형 원자로가 최소 400기에서 최대 1,000기까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미래의 원전시장을 대비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도로 전력 생산, 해수담수화, 지역난방 등 다목적 용도로 이용이 가능한 중소형 원자로 SMART를 개발해왔다.
SMART는 2012년 7월에 국내의 표준설계인가를 받았으며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상용 중소형 원자로의 개발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 또한 2017년까지 SMART를 국내에 건설하여 세계 최초의 상업 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본보고서에서는 SMART와 유사한 설계개념으로 개발되고 있는 해외의 중소형 원자로에 대한 개발현황, 설계특성, 운전경험 및 기술의 향후 전망 등을 파악하여 해외의 중소형 원전시장에 진출할 경우를 대비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