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CO2 감축을 위한 탄소고정재료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철,오창섭
- 분석일
- 2012-11-14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에너지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CO2 탄소고정재료
- 과학기술표준분류
- 에너지 · 자원
- 내용
-
기후변화의 주요인은 이산화탄소(CO2)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사회는 교토의정서 이후인 2013년부터 모든 국가들에게 온실가스 감축(CO2 포함)을 의무화하기 위해 국제 온실가스 감축체제를 준비하고 있다.
CO2 감축이 의무화되면 세계의 산업과 경제 및 기술 전반이 심대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적 동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9년에 2020년까지 CO2 배출량 전망치를 30%(연간 2.44억 톤에 해당) 감축하는 목표를 세웠다.
대기 중 CO2는 식생의 광합성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으로, 또는 Ca, Mg 등 금속산화물과 CO2의 화학적 반응으로 불용성 탄산염이 형성되는 탄산염광물화를 통해, 또는 산업 분야에서 배출되는 CO2를 분리 회수 및 저장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저감될 수 있다.
현재 단기적인 CO2 감축대책으로는 산업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CO2를 분리 회수하여 폐광, 지중 및 해저 등에 저장하는 CCS(CO2 Capture and Storage)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나 장기적인 대책으로는 CO2를 화학적, 전기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재활용하거나 탄산염광물화 및 생광물화 등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CO2를 감축하기 위한 탄소고정재료를 중심으로 탄소고정기술의 개요,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기술의 향후 전망을 요약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