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바이오리파이너리에 의한 케미컬/에너지 병합 시스템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김*호
분석일
2012-10-24 00:00:00.0
기술산업분류
에너지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바이오리파이너리     
과학기술표준분류
에너지 · 자원
내용
우리는 현대 사회가 기반을 두고 있는 화석연료 인프라 위에 구축된 화석연료 경제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화석 연료의 자원고갈 문제, 환경 오염 문제, 에너지 안보 문제 등으로 지속가능 발전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도전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화합물 병합 생산 시스템이 기존 석유-기반 오일리파이너리(ORF)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기반 바이오리파이너리(BRF) 개념으로 새롭게 출현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석유경제에서 바이오경제로 패러다임을 천이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바이오매스-기반 경제는 현재 구축되어 있는 석유정제(ORF) 인프라를 거의 변경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 적은 폐기물 발생량, 이산화탄소 중성적 친환경성, 농업/임업 경제 활성화 등과 같은 매력적인 장점들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도 석유 자원 빈곤국이고 석유 수입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 안보 및 지속가능 발전 측면에서 이렇게 매력적인 BRF 시스템의 연구 개발 및 기술사업화에 국가적 차원에서 아낌없이 투자와 지원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BRF 병합 생산 시스템의 개념, 주요 변환 기술, 특성 등을 포함하면서 BRF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향의 파악을 통해 향후 지속가능 성장의 추진력이 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기반 BRF 시스템의 도입 가속화에 기여하려는 것이다.

EU 회원국 및 북미 국가들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감축 및 지속가능성 발전을 추진력으로 삼아 BRF 기술의 개발에 국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전통 산업계(예: 제지/펄프)의 기업들이 상업화에 커다란 관심을 두고 막대한 재원의 선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BRF 기술 수준 및 시장 형성에서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는 향후 글로벌 BRF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바깥으로는 이러한 국제적 활동에 동참하고, 안으로는 우리나라 ORF 산업계가 이미 구축하고 있는 인프라(예: 시장, 기술, 생산력)를 활용한 BRF 연구 개발에 과감한 재정적 투자와 지원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